본문 바로가기

교통공학/교통 용어10

728x90
반응형
[교통 용어] 태그리스, Tagless 정의태그리스(Tagless)는 사용자가 지불 수단을 소지한 채로 요금소를 지나가면 자동으로 지불이 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태그리스는 철도와 버스에 사용되고 있으며 확대 적용되는 추세이다. 주로 스마트폰을 지불 수단으로 사용하며 지하철의 개찰구, 버스의 탑승구에 태그리스 시스템이 적용된다.참고문서"[IT정주행] 지하철 개찰구도 이젠 하이패스? 에스트래픽 ‘태그리스 시스템’", 곽민구, 더데일리포스트, 2024년 7월 24일. @원문보기"에스트래픽, 세계 최초 'UWB' 기술 기반의 비접촉식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 구축", 키포스트, 2024년 7월 2일. @원문보기"태그리스 솔루션 소개", 티머니. @원문보기"태그리스", 이동의즐거움. @원문보기 2025. 6. 18.
[교통 용어] 코레일 지하철톡 정의코레일 지하철톡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이며 실시간 열차운행 정보 제공과 민원 접수, 교통약자 정보 제공 등의 이동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특징코레일 지하철톡은 2019년에 전동열차 통합 민원시스템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몇차례의 개선을 거쳐서 운영 중이다. 코레일 지하철톡은 안드로이드와 iOS가 탑재된 모바일 장치에서 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관련 화면참고문서"전동열차 통합 민원시스템 구축",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19년 5월 20일."코레일 지하철톡 앱 고도화 사업",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24년 4월 30일."코레일지하철톡 시스템 개선 용역(총체 및 1차)",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25년 6월 5일. 2025. 6. 17.
[교통 용어] 원 톨링 시스템, One Tolling System, OTS 정의원 톨링 시스템(One Tolling System, OTS)은 재정유료도로 구간(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구간)과 민자유료도로 구간을 혼용하여 운행하는 경우 차량이 출구에서 통행료를 한 번만 지불하면 되도록 만든 시스템을 말한다. 원 톨링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에는 민자유료도로를 이용하다가 재정유료도로를 이용하려면 재정유료도로를 이용하기 전에 민자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지불하여야 했다. 원 톨링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통행료 수납의 편의를 제공하고 중간정차가 불필요해져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참고문서"원톨링 시스템이란?",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홈페이지. @원문보기"무정차통행료시스템", 천안논산고속도로. @원문보기"고속도로 통행료, 한 번에 OK! 원톨링 시스템(One Tolling System) 시행".. 2024. 5. 31.
[교통 용어] 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Mobility On Demand, MOD 동영상 설명 [교통 용어]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정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 수요응답형 교통체계)는 교통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운행되는 교통체계를 말한다. DRT는 MOD(Mobility On Demand)로 불리기도 한다. 특징 우리나라에서는 대중교통 관련 DRT가 활발하게 연구개발되고 있다. 대중교통과 택시 관련 겹치는 영역이 있어서 사업화에 애로사항이 있다. DRT 관련 법규와 정책이 빠르게 개선될 필요가 있다. 기술 관련 주요 이슈로는 목적지까지 소요 시간 계산, 잠재 수요를 고려한 노선 형성, 탑승자를 고려한 동적 노선 형성 등이 있다. 관련 기업 씨엘모빌리티 참고문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구축.. 2023. 11. 24.
[교통 용어] MLFF(Multi-Lane Free Flow, 다차로 하이패스, 스마트톨링) 정의 MLFF(Multi-Lane Free Flow)는 유료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 중 하나로 여러 차로에서 무정차로 통행료를 수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징 MLFF는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가 다차로의 형태로 발전한 방향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MLFF는 한국에서 다차로 하이패스(Multi-Lane Hipass) 또는 스마트톨링(Smart Tolling)으로 불리는 시스템이며 말레이시아에서는 'Multi-Lane Fast Flow'로 불리기도 한다. MLFF의 성숙도에 따라서 일부 차로만 차로 구분 구조물이 없는 ETCS인 형태도 있고 전체 차로가 ETCS로 구축되어 요금 수납원이 차로에 없는 형태도 있다. 인도와 말레이시아 등의 나라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 2023. 11. 13.
전술항행표지시설(TACAN, Tactical Air Navigation) 정의 전술항행표지시설(TACAN, Tactical Air Navigation)은 군용 항공기의 항법 시스템이다. 전술항행표지시설은 항공기에게 지상 기지국과의 거리 및 방위 정보를 제공하는 지상시설이다. 참고문서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설치 및 기술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786호, 2022년 12월 19일. @원문보기 "항행안전시설", 최용준, 경운대학교, 2012년. @원문보기 "관제소 업무소개: 항공무선표지시설", 인천항공교통관제소. @원문보기 "항행무선 시설", 서울지방항공청. @원문보기 "공항공사, 공군에 자체 개발 ‘TACAN’ 납품", 조태민, 국토경제, 2023년 6월 16일. @원문보기 2023. 7. 10.
[교통 용어] WIM(Weigh-in-Motion, 축중기) 정의 도로 분야에서 WIM(Weigh-in-Motion, 축중기)은 화물차량의 중량과 높이를 계측하는 장비를 말한다. WIM를 통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화물차량이 허용 중량과 높이를 벗어나는 경우 도로 진입을 제한하여 도로의 안전을 도모한다. 참고문서 "WIM(Weigh In Motion) – 축중기", ITS 국제협력센터, 국토교통부. @원문보기 2023. 6. 29.
[교통 용어]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협력·지능형 교통 체계 ) 정의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협력·지능형 교통 체계, 협력 ITS)는 교통 체계가 통신을 통해 서로 협력하여 운영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C-ITS는 운행 및 사고 정보를 공유하여 사고를 예방 또는 최소화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참고문서 "C-ITS, 교통사고 제로화 이끄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DX Insight, KT 엔터프라이즈, 2022년 3월 3일. @원문보기 "C-ITS 개념", C-ITS 시범사업 홍보관, 한국도로공사, 국토교통부. @원문보기 "About C-ITS", CAR 2 CAR Communication Consortium. @원문보기 "Guide: Cooperative Intelligen.. 2023. 6. 12.
[교통 용어] 스마트톨링(Smart Tolling) 동영상 설명[교통 용어] 스마트톨링(Smart Tolling)정의스마트톨링(Smart Tolling)은 유료도로의 무정차 영업시스템(통행료 수납 시스템) 중 하나이다. 영업소 차로에 근무인원이 없고 ETCS(Electric Toll Collection System)만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통행한 차량의 결제 정보가 없으면 차량번호를 활용하여 차주에게 후불고지한다.참고문서"스마트톨링", 국토교통부, 국토용어해설, 전자도서관, 국토연구원 2017년 12월 4일. @원문보기"스마트톨링(Smart Tolling)이란 무엇인가?", 공학코드, 2022년 7월 26일. @원문보기"에스트래픽, 서울제물포터널 ITS 구축 사업 준공", 양민호, 프라임경제, 2021년 4월 15일. @원문보기 2022. 12. 14.
[교통 용어] AFC(Automatic Fare Collection, 자동요금징수설비) 정의 AFC(Automatic Fare Collection, 자동요금징수설비)는 교통 관련이용 요금을 자동으로 징수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주로 철도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AFC는 우리가 이미 경험하고 사용 중인 설비이며 사용 예시로 아래의 사진들처럼 지하철을 이용할 때 출입구에 교통카드를 접촉시키면 자동으로 요금이 나가는 것과 같은 것들이 있다. 에스트래픽이 미국 BART에 납품한 AFC 방송분 참고문서 "AFC(Automatic Fare Collection)", ITS 국제협력센터, 국토교통부. @원문보기 "Automated Fare Collection System (AFC)", 에스트래픽. @원문보기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스마트교통, 롯데정보통신. @원문보기 2022.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