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47 728x90 반응형 [우분투 22.04] "Command 'netstat' not found, but can be installed with:" 해결 방법 현상우분투 22.04에서 netstat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Command 'netstat' not found, but can be installed with:sudo apt install net-tools해결 방법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netstat 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udo apt install net-toolsnet-tools 패키지가 설치된 후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5. 2. 5. [우분투 22.04] OpenJDK 17 설치 방법 우분투 22.04에서 OpenJDK 17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설치가능한 버전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할 수 있는 OpenJDK 17 버전을 확인한다.apt list | grep openjdk-17 OpenJDK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OpenJDK를 설치한다.apt-get install openjdk-17-jdk설치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된 OpenJDK의 버전을 확인한다.javac -version 2025. 2. 4. 톰캣 'org.apache.tomcat.jni.Error: 70023' 오류 해결 방법 오류 현상아래와 같이 톰캣을 실행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SEVERE [main] org.apache.catalina.core.AprLifecycleListener.lifecycleEvent Failed to initialize the SSLEngine. org.apache.tomcat.jni.Error: 70023: This function has not been implemented on this platform오류 원인이는 SSL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발생하는 것이다.해결 방법1.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SSL 라이브러리 패키지를 설치한다.apt-get install libssl-dev 2.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아래의 OpenSSL 버전 호환 문서를 확인한다.톰캣과 .. 2025. 1. 20. [우분투 22.04] 파이썬 3.10 자동 설치 방법 우분투 22.04에서 파이썬 3.10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파이썬 설치 가능 여부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 3.10 버전 설치가 가능한지 확인한다.apt list python3.10*파이썬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 3.10을 설치한다.apt install python3.10apt install python3.10-pipapt install python3.10-venv 2024. 12. 31. [우분투 22.04] meson 설치 'meson'은 빌드 도구 중 하나이며 우분투 22.04에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설치할 수 있다.sudo apt install meson참고문서"The Meson Build system", Meson 공식 홈페이지. @원문보기 2024. 12. 30. [우분투 22.04] 파이썬 3.10 가상환경 생성 및 활성화 방법 가상환경 생성우분투 22.04에서 파이썬 3.10의 가상환경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python3.10 -m venv venv위의 사진에 나타난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가상환경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가상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sudo chmod +x venv/bin/*가상환경 활성화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가상환경을 활성화 할 수 있다.source venv/bin/activate참고문서"venv — Creation of virtual environments", 파이썬 3.10 문서 . @원문보기 2024. 12. 26. [우분투] 연월일시분 표시해서 파일 목록 조회하는 명령어 우분투에서 파일 목록을 조회할 때 날짜를 연도와 월, 일, 시, 분으로 표시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ls --time-style=long-iso -l .참고문서"ls, 날짜 표시 설정.", 아무도안, 2019년 5월 28일. @원문보기"ls - list directory contents", Ubuntu 지침서. @원문보기 2024. 11. 1. [우분투 22.04]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없는 운영 서버에 파이썬 3.11 설치하기 우분투 파이썬 패키지를 자동 설치해야 하는데 인터넷 접근이 차단되어 인터넷을 통해 파이썬을 자동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 이는 주로 운영 서버 환경에서 보안 때문에 많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인터넷 접근을 개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해결 방법이겠지만 공공기관과 군대 같은 고객의 경우 이 해결 방법을 사용하기가 어렵다.그런 경우 인터넷이 되는 같은 우분투 버전을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다면 자동설치를 위한 파일을 이 컴퓨터로 받고 운영 서버에 옮겨서 하는 것이 그나마 편리한 해결 방법이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파이썬 패키지 다운로드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 3.11 설치파일과 관련 의존성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다.apt-get download python3.11apt-cache depends -i p.. 2024. 10. 28. [CentOS 8] MariaDB 11.4 소스 컴파일 설치 CentOS 8에서 MariaDB 11.4를 소스 컴파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MariaDB 소스 컴파일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MariaDB 11.4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 해제 한다.wget https://mirrors.xtom.jp/mariadb//mariadb-11.4.3/source/mariadb-11.4.3.tar.gztar -xf mariadb-11.4.3.tar.gzmv mariadb-11.4.3 mariadb-11.4.3-srccd mariadb-11.4.3-src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makefile을 생성한다. 디렉토리 경로는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cmake \-DCMAKE_INSTALL_PREFIX=/home2/mariadb/mariadb_11.4.3 \-DM.. 2024. 10. 23. [우분투] "installed libc-bin package post-installation script subprocess returned error exit status 127" 오류 해결 방법 현상우분투에서 아래와 같이 cmake 패키지를 설치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sudo apt-get install cmake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cmake is already the newest version (3.16.3-1ubuntu1.20.04.1).다음 패키지가 자동으로 설치되었지만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gir1.2-goa-1.0Use 'sudo apt autoremove' to remove it.0개 업그레이드, 0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124개 업그레이드 안 함.1개를 완전히 설치하지 못했거나 지움.이 작업 후 0 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계속 하시겠습니까? [Y/n] Ylibc-bi.. 2024. 10. 3. [우분투 20.04] 버퍼캐시 메모리 비우기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버퍼캐시 메모리를 비울 수 있다. 'sync' 명령을 입력하면 캐시에 있는 값을 디스크에 기록한다. 캐시를 비울 때 값을 1로 입력하면 페이지 캐시만 삭제되며 값을 2로 입력하면 덴트리와 아이노드가 삭제되며 값을 3으로 입력하면 페이지 캐시와 덴트리, 아이노드가 삭제된다.syncecho 1 > /proc/sys/vm/drop_cachessyncecho 2 > /proc/sys/vm/drop_cachessyncecho 3 > /proc/sys/vm/drop_caches참고문서"/proc/sys/vm/ - virtual memory subsystem", 우분투 지침서. @원문보기"[Ubuntu / 우분투] Linux에서 buffer/cache 비우기", Just Give Me The.. 2024. 9. 15. [우분투 22.04] MariaDB 11.4 소스 컴파일 설치 우분투 22.04에서 MariaDB 11.4 버전을 소스 컴파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의존성 패키지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MariaDB 11.4 소스 컴파일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libc-bin libncursesw5-dev gnutls-dev cmake MariaDB 11.4 소스 다운로드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MariaDB 11.4 소스를 다운로드하고 압축해제 한다.wget https://mirrors.xtom.jp/mariadb//mariadb-11.4.3/source/mariadb-11.4.3.tar.gztar -xf mariadb-11.4.3.tar.gzmv mariadb-11.4.3 mariadb.. 2024. 9. 10. [우분투 22.04] 사용자를 sudo 그룹에 추가하기 sudo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sudo 그룹에 속하여야 한다. sudo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usermod -aG sudo {사용자명}참고문서"usermod - modify a user account", 우분투 22.04 LTS 지침서. @원문보기 2024. 9. 6.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설치 방법 우분투에서 레디스(Redis)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apt-get'으로 간편하게 명령어 한 줄로 자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설치가 간단하나 경로 관리가 필요한 실제 업무 때는 사용하지 못 한다.자동 설치 방법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후 레디스를 설치한다.apt-get updateapt-get upgradeapt-get install redis-server아래의 명령어로 설치된 레디스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버전이 잘 나타난다면 레디스가 잘 설치된 것이다.redis-server --version수동 설치 방법수동 설치 방법은 아래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수동 설치, 공학코드, 2024년 8월 4.. 2024. 8. 18.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설치 오류 "redis is not in the sudoers file." 해결 방법 현상과 원인레디스를 설치할 때 계정이 sudo 권한이 없으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한다.redis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해결 방법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sudo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파일 권한을 조정하고 'sudoers' 파일에 편집 모드로 진입한다.ls -al /etc/sudoerschmod 700 /etc/sudoersls -al /etc/sudoersvi /etc/sudoers아래처럼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한다.{계정명} ALL=(ALL) ALL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권한을 원래대로 돌려 놓는다.chmod 440 /etc/sudoersls -al /etc/sudoers다시 설치를 시도하면 잘 동작할 것.. 2024. 8. 16.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오류 "This systems seems to use systemd" 해결 방법 현상과 원인 레디스를 기본 설치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설치할 때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나타나면서 설치 진행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 설치 스크립트의 특정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Welcome to the redis service installerThis script will help you easily set up a running redis serverThis systems seems to use systemd.Please take a look at the provided example service unit files in this directory, and adapt and install them. Sorry!해결 방법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 스크립트를 수정하는 .. 2024. 8. 10.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수동 설치 본 글에서는 우분투(Ubuntu) 22.04 환경에서 레디스(Redis) 7.2.5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한다.레디스 다운로드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를 다운로드 받는다.wget https://download.redis.io/releases/redis-7.2.5.tar.gz레디스 다운로드 주소: https://redis.io/downloads/레디스 버전별 목록: https://download.redis.io/releases/ 레디스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다운로드한 레디스 파일을 압축해제 한다.tar zxvf redis-7.2.5.tar.gz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가 설치가능한지 확인한다.cd redis-7.2.5/make && make test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 설치를 .. 2024. 8. 4. [우분투 22.04] 스토리지(SSD/HDD) S.M.A.R.T. 확인 방법 우분투에서 S.M.A.R.T.(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로 SSD와 HDD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블록 디바이스 목록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블록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한다. lsblkS.M.A.R.T .상태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스토리지 장치의 상태를 확인한다.smartctl -H {장치명}'test result'가 'PASSED'로 나오면 정상이다.참고문서"lsblk - list block devices", 우분투 지침서. @원문보기"smartctl - Control and Monitor Utility for SMART Disks", 우분투 지침서. @원문보기 2024. 7. 26. [우분투 22.04] "zlib.h: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해결 방법 현상아래의 메시지가 출력된다.fatal error: zlib.h: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 방법아래의 명령어로 'zlib'를 설치한다.apt-get install libz-dev 2024. 6. 13. [우분투 22.04] 설치한 OpenSSL 경로 및 정보 확인 방법 OpenSSL이 설치된 경로를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which opensslOpenSSL 관련 디렉토리 정보를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openssl version -a 2024. 6. 1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