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3

728x90
반응형
[IT 용어] 사이킷런(scikit-learn, sklearn) 정의 사이킷런(scikit-learn, sklearn)은 파이썬 기반의 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라이브러리이다. 사이킷런은 2007년에 구글 여름 코드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참고문서 "Getting Started", 사이킷런 공식문서. @원문보기 2023. 8. 31.
[IT 용어] Microsoft Machine Learning Studio 정의 Microsoft Machine Learning Studio(마이크로소프트 머신 러닝 스튜디오, Microsoft ML Studio)는 Microsoft 사에서 서비스 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개발 환경이다. 특징 Microsoft Machine Learning Studio는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이 있으며 2024년 8월 31일에 서비스 종료될 예정이다. Microsoft 사는 Microsoft Machine Learning Studio 대신에 Azure Machine Learning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참고문서 "Home", Microsoft Machine Learning Studio. @원문보기 "Studio pricing", 마이크로소프트. @원문보기 2023. 8. 31.
[IT 용어] Google Colab 정의 Google Colab은 Google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 파이썬 개발 환경이다. 특징 Google Colab은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이 있으며 무료 버전은 최대 12시간 연속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GPU까지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서 "Colab이란?", 구글. @원문보기 "Google Colaboratory 시작하기 (TensorFlow 코딩하기)", 텐서플로 유튜브 채널, 2019년 1월 31일. @원문보기 2023. 8. 31.
파이썬 아나콘다 가상환경 목록 확인 가상환경 목록 확인 아나콘다(Anaconda)에서 가상환경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conda env list 2023. 8. 31.
[IT 용어] Amazon SageMaker 정의 Amazon SageMaker는 Amazon에서 서비스하는 기계 학습 모델을 훈련하고 배포하는 플랫폼이다. Amazon SageMaker에는 2개월 간 무료로 사용가능한 제품이 있어서 머신러닝 입문자가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 중 하나이다. 참고문서 "Q: Amazon SageMaker란 무엇인가요?", FAQ, Amazon Web Service.@원문보기 2023. 8. 31.
[파이썬] 설치된 패키지 버전 확인 명령어 패키지 버전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된 파이썬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에는 버전 정보가 있다. pip show {패키지명} 참고문서 "pip show", pip documentation v23.2.1. @원문보기 2023. 8. 30.
주피터 노트북이 사용할 디렉토리 설정하기 디렉토리 설정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이 사용할 디렉토리(폴더)는 'jupyter_notebook_config.py' 설정 파일에서 지정할 수 있다. 이 설정 파일은 윈도우 환경 기준으로 'C:\Users\사용자계정\.jupyter\'에 있다. 아래와 같이 주피터 노트북이 사용할 디렉토리를 설정할 수 있다. c.NotebookApp.notebook_dir = {경로} 위의 사진처럼 설정해도 사용하는 디렉토리가 변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할 때 사용하는 디렉토리 정보를 주고 있는 것이 아닌지 확인한다. 대상에 입력되어 있는 "%USERPROFILE%/" 값을 삭제하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서 "Config file and command line options".. 2023. 8. 29.
주피터 노트북 설정 파일 생성 설정 파일의 필요성 일반적으로는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을 기본값으로 사용해도 충분하지만 여러명이 같이 사용하는 환경이나 특정 경로에 주피터 노트북이 동작하는 것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설정 파일을 생성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설정 파일 생성 아래의 사진처럼 아나콘다(Anaconda)로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한 경우 아나콘다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아래의 사진처럼 입력하여 주피터 노트북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위의 사진에 나타난 설정 파일 생성 경로를 따라서 설정 파일이 잘 생성되었는지 아래의 사진처럼 확인한다. 참고문서 "Config fi.. 2023. 8. 28.
[자바] 배열(Array) 관련 동영상 13강. 배열(Array) 배열 자바에서 배열은 같은 자료형과 같은 성질의 값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값들을 말한다. 배열의 필요성 같은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같은 성질의 값들을 필요할 때 마다 변수로 하나씩 선언하는 것은 생산성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배열로 한 번에 선언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배열 선언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 그 예시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길이}]; 배열 초기값 설정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 배열의 초기값(초깃값)을 배열 선언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자료형}[] {변수명} = { {값}, {값}, ... } 배열의 값 읽기 배열에 있는 값을 읽는(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인덱.. 2023. 8. 28.
[IT 용어] LTS(Long Term support) 정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LTS(Long Term Support)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장기적으로 지원되는 것을 말한다. 참고문서 "Long-term support", 위키피디아, 2023년 7월 3일. @원문보기 "UNITY 2022 LTS", 유니티 공식 문서. @원문보기 "The art of long-term support and what LTS means for the Java ecosystem", Java Magazine, 오라클, 2021년 9월 9일. @원문보기 2023. 8. 27.
[RHEL] PostgreSQL 보안 및 방화벽 설정 다른 시스템에서 PostgreSQL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PostgreSQL 보안 설정과 시스템 방화벽 설정이 필요하다. 레드햇 방화벽 허용 설정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5432 포트로 TCP 통신한다. 이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방화벽에서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432/tcp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정이 적용되도록 방화벽 설정을 다시 불러온다. firewall-cmd --reload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정한 것이 잘 적용되었는지 방화벽 목록을 확인한다. firewall-cmd --list-all PostgreSQL 보안 정책 설정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PostgreSQL 설정 파일을.. 2023. 8. 26.
Stable Diffusion Web UI 로그인 계정 설정 로그인 활성화 Stable Diffusion Web UI에서 로그인할 때 계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활성화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listen --gradio-auth "{아이디}:{비밀번호}" 참고문서 "how to put user authentication layer in front of webui (for network users / webusers) #8822", AUTOMATIC1111 /stable-diffusion-webui, GitHub, 2023년 3월 23일. @원문보기 2023. 8. 25.
[PostgreSQL] 자료형 변환 자료형 변환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PostgreSQL에서 자료형을 변환할 수 있다. 활용 예시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CAST({값} AS {자료형}) {값}::{자료형} 참고문서 "CREATE CAST", SQL Commands, PostgreSQL 15 공식 문서. @원문보기 "10.2. Operators", Chapter 10. Type Conversion, PostgreSQL 15 공식 문서. @원문보기 2023. 8. 24.
[PostgreSQL] 버전 확인 쿼리 버전 확인 쿼리 PostgreSQL 버전을 확인하는 쿼리는 아래와 같다. select version(); 2023. 8. 23.
아나콘다 파이썬 버전 변경하기 파이썬 버전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아나콘다에서 사용 중인 파이썬 버전을 확인한다. python -V 설치가능한 파이썬 버전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가능한 파이썬 버전 목록이 나타난다. conda search python 아나콘다 파이썬 버전 변경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나콘다 파이썬의 버전을 변경할 수 있다. conda install python={버전} 2023. 8. 22.
CentOS 배포판 버전과 커널 버전 확인하는 명령어 배포판 버전 확인 배포판 버전 확인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cat /etc/*release* 커널 버전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커널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cat /proc/version 2023. 8. 21.
[우분투 20.04] 도커 설치하기 도커 설치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 apt-get update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기존의 도커 관련 패키지를 삭제한다. for pkg in docker.io docker-doc docker-compose podman-docker containerd runc; do sudo apt-get remove $pkg; done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도커의 의존성 패키지들을 설치한다. apt-get install ca-certificates curl gnupg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도커 공식 GPG 키를 받고 설정한다. install -m 0755 -d /etc/apt/keyrings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2023. 8. 20.
[RHEL] 파티션 삭제 명령어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에서 파티션을 삭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파티션 삭제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티션을 삭제할 수 있다. fdisk {장치명} m d {파티션번호} w 참고문서 "Managing partitions in Linux with fdisk", 레드햇. @원문보기 "Red Hat Enterprise Linux 9 Managing storage devices", 레드햇. @원문보기 2023. 8. 19.
[자바] 제어문(Control Statement) 동영상 설명 7강. 자바에서 제어문이란 제어문이란 제어문(Control Statement)은 특정한 조건식(Condition expression)에 따라 동작하는 문법을 말한다. 조건식의 결과가 참이면 연산을 수행하고 거짓이라면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문은 조건문과 반복문으로 구분한다. 조건문과 반복문 자바에서는 조건문은 if와 switch가 있으며 반복문은 for, while, do-while가 있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if 조건문 if 조건문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글을 참고한다. "[자바] if 조건문", 20203년 8월 18일. @원문보기 switch 조건문 switch 조건문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글을 참고한다. "[자바] switch 조건문", 20203년 8월 18일. @원문보기 .. 2023. 8. 18.
[자바] switch 조건문 동영상 설명 9강. switch 조건문 switch 조건문 switch 조건문은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switch( {변수} ){ case {값}: // 실행할 코드 break; case {값}: // 실행할 코드 break; default: // 실행할 코드 break; } switch 조건문 예제 위의 문법으로 switch 조건문을 구현한 예제는 아래와 같다. 예제 소스 코드 주소: https://github.com/EngineeringCode/study-java/blob/main/src/com/hcpark1993/example/statement/SwitchExample.java int a = 3; switch(a) { case 3: System.out.println("변수 a의 값.. 2023.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