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728x90
반응형
[교통 용어] 코레일 지하철톡 정의코레일 지하철톡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이며 실시간 열차운행 정보 제공과 민원 접수, 교통약자 정보 제공 등의 이동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특징코레일 지하철톡은 2019년에 전동열차 통합 민원시스템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몇차례의 개선을 거쳐서 운영 중이다. 코레일 지하철톡은 안드로이드와 iOS가 탑재된 모바일 장치에서 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관련 화면참고문서"전동열차 통합 민원시스템 구축",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19년 5월 20일."코레일 지하철톡 앱 고도화 사업",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24년 4월 30일."코레일지하철톡 시스템 개선 용역(총체 및 1차)", 한국철도공사 전자조달시스템, 2025년 6월 5일. 2025. 6. 17.
[논문요약] Performance Analysis of Bicycle-to-Pedestrian Safety Appl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원문명Performance Analysis of Bicycle-to-Pedestrian Safety Appl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국문명(번역)저전력 블루투스를 활용한 자전거와 보행자 간의 안전 응용 성능 분석원문주소https://doi.org/10.1145/3129676.3129727발표ACM RACS 2017저자박형철, 경북대학교.이성원, 경북대학교.문은배, 경북대학교.사예드 하산 아흐메드, 경북대학교.김동균, 경북대학교.초록(번역)자전거와 세그웨이, 나인봇과 같은 개인용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이하 자전거로 통칭)의 사용이 기술 발전에 따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과 헤드폰 같은 것을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쓰는 경우도 증가하.. 2022. 2. 7.
안드로이드 무선 디버깅으로 앱 실행하기 오랜만에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런저런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어서 꽤나 흥미롭게 하고있다. 내가 본 새로운 기능 중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무선 디버깅 기능이다. 예전에도 온갖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선 디버깅이 되었으나 다소 번거로웠었다. 하지만 이제는 버튼 클릭과 명령어 하나로 디버깅을 활성화할 수 있었다. 안드로이드 장치 무선 디버깅 활성화 갤럭시를 쓰는 경우 개발자 옵션으로 이동하여 무선디버깅을 활성화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페어링된 장치가 없다면 페어링을 진행하면 된다. 페어링된 기기가 생겼으면 IP 주소 및 포트를 확인한다. 개발 PC와 안드로이드 장치 간 통신 활성화 아래의 사진과 같이 위의 안드로이드 무선 디버깅 화면에서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개발 PC와 안드로이드.. 2021. 6. 28.
IoTivity의 예제를 라즈베리파이와 안드로이드에 실행시켜보았다. 본 글은 2017년 7월 27일 17시 18분에 썼던 글이며 블로그 자료 이전으로 날짜만 갱신된 글입니다.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에게 장치간 연결성을 제공하는 솔루션 중 하나가 IoTivity이다. IoTivity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용이하도록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최근에 내가 IoTivity를 활용한 개발이 어느 정도 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일을 맡게 되어서 진행 중인데 버전별로 메뉴얼도 충분하지 않고 빌드 시간도 너무 길어서 아주 시간을 많이 허비했다. 하지만 그나마 IoTivity가 경쟁 솔루션 대비 잘 정리되어 있는 것이고 그나마 국제적으로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는 플랫폼이라는 것에 위안을 삼아 진행하고 있다. 꾸역꾸역 빌드를 하고 안드로이드에 예제 앱을 올려서.. 2019.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