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47 728x90 반응형 [우분투] 사용자 계정 생성 명령어, 홈 디렉토리 설정 사용자 계정 생성우분투(Ubuntu)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useradd {사용자명}홈 디렉토리를 설정하면서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이 경우 홈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으니 디렉토리 생성 및 소유자 설정 등을 해야 한다.useradd {사용자명} --home-dir {디렉토리경로}또는 아래와 같이 옵션을 지정할 수도 있다.useradd {사용자명} -d {디렉토리경로}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passwd {사용자명}참고문서"useradd - create a new user or update default new user information", Ubuntu Manpage. @원문보기 2023. 8. 7. [우분투] 사용자 계정 삭제 명령어 사용자 계정 삭제 우분투에서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userdel {사용자명} 사용자 계정 완전 삭제 홈 디렉토리 삭제 등을 포함해서 완전 삭제를 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실행 결과는 아래의 사진처럼 나타난다. userdel -rf {사용자명} 참고문서 "userdel - delete a user account and related files", Ubuntu Manpage. @원문보기 2023. 8. 5. [우분투] 터미널에서 자동완성이 안 될 때 조치 방법 현상 및 문제 우분투(Ubuntu)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접속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자동완성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우분투의 기본 터미널이 'cshell'이기 때문이다. 원인 'bash shell'로 터미널이 쓰는 쉘을 변경하면 자동완성 등 일반적으로 경험했던 기능들을 쓸 수 있다. 터미널이 쓰는 쉘을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해결 방법 시스템 설정 변경 없이 바로 'bash shell'로 전환하는 방법은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시스템에 접속할 때 마다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접속할 때 'bash shell'을 기본으로 쓰도록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bash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자 정보가 담긴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연다. vi /etc/passwd .. 2023. 8. 4. [우분투] 디렉토리별 사용량 및 남은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우분투에서 디렉토리별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df -h 참고문서 "DF(1)", User Commands, 2020년 4월. @원문보기 2023. 8. 3. [우분투] 시간대(Timezone, 타임존) 변경 방법 우분투(Ubuntu)에서 시간대(Timezone, 타임존)를 변경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사진처럼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한다. tzselect 2023. 7. 11. [우분투] 디렉토리 복사 디렉토리 복사 명령어 우분투(Ubuntu)에서 디렉토리(Directory)를 복사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R' 옵션이 있어야 디렉토리 복사가 가능하다. cp -R [복사할디렉토리경로] [경로] 참고문서 "Ubuntu Manpage: cp - copy files and directories", 우분투 메뉴얼. @원문보기 2023. 2. 25. [우분투] 사용자 계정 목록 확인 방법 사용자 목록 확인 명령어 아래의 명령어로 우분투 터미널에서 현재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cat /etc/passwd 계정명만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다. cut -f1 -d: /etc/passwd 참고문서 "Ubuntu Manpage: passwd - the password file", 우분투 메뉴얼. @원문보기 2023. 2.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