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riadb24

728x90
반응형
[CentOS 7] MariaDB "max_open_files" 경고 조치 경고 내용 MariaDB 오류가 발생한 것 때문에 이것 저것 조치하고 있다보니 눈에 거슬리는 경고문이 있어서 조치를 했다. 아래와 같이 MariaDB 서비스를 시작할 때 "[Warning] Could not increase number of max_open_files to more than 16384 (request: 32186)"라고 경고문이 발생했었다. 경고 해결 방법 위의 경고문은 MariaDB 서비스 파일을 수정하여 조치할 수 있다. vi /lib/systemd/system/mariadb.service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MariaDB 서비스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연다. 위와 같은 구문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데 있다면 적당한 숫자를 기입하거나 무한대로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없으면.. 2021. 3. 28.
XE1 "Call to undefined function mysql_connect()" 오류 조치 XE1로 운영 중인 사이트가 잘 되다가 업데이트 후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동작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정파일의 MySQL을 지칭하는 속성명이 바뀌어서 발생하는 문제이기에 설정을 수정하면 해결할 수 있다. Fatal error: Uncaught Error: Call to undefined function mysql_connect() in 2021. 3. 28.
[CentOS 7/8] MariaDB 인코딩 설정하기 MariaDB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인코딩을 지정해야 자동으로 무언가를 할 때든 협업할 때든 간에 일이 수월하게 풀린다. CentOS 7에 설치한 MariaDB의 인코딩을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MariaDB 설정 파일 열기 vi /etc/my.cnf.d/server.cnf 2. MariaDB 설정 파일 수정 적당한 곳에 인코딩 설정을 입력한다. 필자의 경우 UTF-8로 지정하기 위해 아래처럼 입력했다. character_set_server = utf8 이모지 활용을 위해 utf8mb4로 인코딩을 지정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입력하면 된다. character_set_server = utf8mb4 2021. 3. 28.
[CentOS 7/8] MariaDB 설치하기 MariaDB 를 사용하는 이유 MariaDB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다. 나의 경우 취미생활로 즐겨사용한다. 하지만 업무를 할 때는 오라클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티맥스의 티베로를 사용하고 있다. 아무래도 한국에서 기술지원 받기가 용이하고 대규모 처리능력이 검증된 것이기도 하며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분이 오라클이나 티베로를 보통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riaDB는 메뉴얼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생태계가 잘 형성되어 있고 무료로 제공되는 엔터프라이즈급 기능들이 있기에 많은 인기가 있는 제품이고 그렇기에 나도 즐겨사용한다. 이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MariaDB 저장소 추가 vi /etc/yum.. 2021.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