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buntu49

728x90
반응형
[우분투 22.04] 사용자를 sudo 그룹에 추가하기 sudo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sudo 그룹에 속하여야 한다. sudo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usermod -aG sudo {사용자명}참고문서"usermod - modify a user account", 우분투 22.04 LTS 지침서. @원문보기 2024. 9. 6.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설치 방법 우분투에서 레디스(Redis)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apt-get'으로 간편하게 명령어 한 줄로 자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설치가 간단하나 경로 관리가 필요한 실제 업무 때는 사용하지 못 한다.자동 설치 방법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후 레디스를 설치한다.apt-get updateapt-get upgradeapt-get install redis-server아래의 명령어로 설치된 레디스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버전이 잘 나타난다면 레디스가 잘 설치된 것이다.redis-server --version수동 설치 방법수동 설치 방법은 아래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수동 설치, 공학코드, 2024년 8월 4.. 2024. 8. 18.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설치 오류 "redis is not in the sudoers file." 해결 방법 현상과 원인레디스를 설치할 때 계정이 sudo 권한이 없으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한다.redis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해결 방법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sudo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파일 권한을 조정하고 'sudoers' 파일에 편집 모드로 진입한다.ls -al /etc/sudoerschmod 700 /etc/sudoersls -al /etc/sudoersvi /etc/sudoers아래처럼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한다.{계정명} ALL=(ALL) ALL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권한을 원래대로 돌려 놓는다.chmod 440 /etc/sudoersls -al /etc/sudoers다시 설치를 시도하면 잘 동작할 것.. 2024. 8. 16.
[우분투 22.04] 레디스(Redis) 수동 설치 본 글에서는 우분투(Ubuntu) 22.04 환경에서 레디스(Redis) 7.2.5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한다.레디스 다운로드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를 다운로드 받는다.wget https://download.redis.io/releases/redis-7.2.5.tar.gz레디스 다운로드 주소: https://redis.io/downloads/레디스 버전별 목록: https://download.redis.io/releases/ 레디스 설치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다운로드한 레디스 파일을 압축해제 한다.tar zxvf redis-7.2.5.tar.gz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가 설치가능한지 확인한다.cd redis-7.2.5/make && make test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레디스 설치를 .. 2024. 8. 4.
[우분투 22.04] 스토리지(SSD/HDD) S.M.A.R.T. 확인 방법 우분투에서 S.M.A.R.T.(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로 SSD와 HDD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블록 디바이스 목록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블록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한다. lsblkS.M.A.R.T .상태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스토리지 장치의 상태를 확인한다.smartctl -H {장치명}'test result'가 'PASSED'로 나오면 정상이다.참고문서"lsblk - list block devices", 우분투 지침서. @원문보기"smartctl - Control and Monitor Utility for SMART Disks", 우분투 지침서. @원문보기 2024. 7. 26.
[우분투 22.04] "zlib.h: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해결 방법 현상아래의 메시지가 출력된다.fatal error: zlib.h: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 방법아래의 명령어로 'zlib'를 설치한다.apt-get install libz-dev 2024. 6. 13.
[우분투 22.04] 설치한 OpenSSL 경로 및 정보 확인 방법 OpenSSL이 설치된 경로를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which opensslOpenSSL 관련 디렉토리 정보를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openssl version -a 2024. 6. 12.
[우분투 22.04] 가상 메모리(Swap Memory) 크기 조정 우분투에서 가상 메모리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가상 메모리 해제기존의 가상 메모리 영역을 조정하는 경우 가상 메모리를 해제하고 삭제한다. 아래는 가상 메모리를 해제 하는 명령어이다.swapoff -v /swapfile가상 메모리 영역 삭제아래의 명령어로 가상 메모리 영역을 삭제한다.rm /swapfile가상 메모리 영역 할당아래의 명령어로 가상 메모리 영역을 할당한다.fallocate -l {크기} /swapfile가상 메모리 영역 권한 조정아래의 명령어로 가상 메모리에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를 제한한다.chmod 600 /swapfile가상 메모리 생성아래의 명령어로 가상 메모리 영역을 생성한다.mkswap /swapfile가상 메모리 활성화아래의 명령어로 가상 메모리 영역을 활성화한다.swapo.. 2024. 5. 29.
[우분투 22.04] 기본으로 사용할 자바 버전을 선택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사용할 자바 버전을 선택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아래의 사진처럼 설치된 자바 목록이 나타나고 기본 값으로 사용할 자바 버전을 숫자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2024. 5. 18.
[우분투]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 우분투에 등록한 시스템 서비스는 운영체제가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참고문서"systemctl", Ubuntu manuals. @원문보기 2024. 5. 11.
[우분투] 톰캣 실행시 "bin/startup.sh: Permission denied" 오류 해결 방법 현상우분투에서 톰캣을 실행할 때 아래의 사진처럼 "bin/startup.sh: Permission denied" 메시지가 발생하며 실행이 되지 않는다. 해결방법톰캣 파일의 소유주와 그룹에 맞춰서 실행 권한을 부여하면 해결된다. 아래의 실행 권한 부여 명령어를 참조하여 적절하게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chmod u+x *.shchmod g+x *.shchmod o+x *.sh 2024. 4. 23.
[우분투 22.04] OpenJDK 8 설치 방법 우분투 22.04에서 OpenJDK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설치가능한 버전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할 수 있는 OpenJDK 8 버전을 확인한다. apt list | grep openjdk-8 OpenJDK 설치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OpenJDK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openjdk-8-jdk 설치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된 OpenJDK 버전을 확인한다. javac -version 2024. 3. 23.
우분투 버전 확인 명령어 우분투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lsb_release -a 참고문서 "lsb_release", Linux Standard Base PDA Specification 3.0RC1, 리눅스 재단. @원문보기 2024. 3. 20.
[우분투 22.04] 톰캣 서비스 등록하기 CentOS의 정책이 바뀌면서 우분투를 서버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글에서는 우분투 22.04 환경에서 톰캣 서비스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톰캣 서비스 등록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시스템 서비스에 톰캣 서비스 파일을 생성한다. vi /etc/systemd/system/tomcat.service 톰캣 서비스 파일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한다. 환경 변수와 시작 스크립트, 중지 스크립트, 사용자 설정 등을 적절하게 수정한다. [Unit] Description=Apache Tomcat 9.0 Web Application Container After=syslog.target network.target [Service] Type=forking Environment=JAVA.. 2024. 2. 11.
[우분투 22.04] 화면 자동 잠금 해제 우분투 22.04를 사용할 때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화면이 자동으로 잠길 때가 있다. 이게 생각보다 여러 버그와 불편함을 발생시키기에 비활성화 해야할 때가 있다. 화면 자동 잠금을 해제 하려면 아래의 사진처럼 'Settings' → 'Power' → 'Power Saving Options'로 이동해서 잠기지 않도록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024. 2. 10.
[우분투 22.04] XRDP 원격 데스크톱 '인증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함수에 제공된 토큰이 올바르지 않습니다.'가 발생할 때 해결 방법 우분투(Ubuntu) 22.04 부터는 'Sharing' 설정에 가면 RDP(Remote Desktop Protocol)로 컴퓨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하지만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만큼 자연스럽고 직관적이게 되어 있지는 않아서 활용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오류 메시지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오류 메시지와 원인대표적인 사례로 오류메시지가 'The token supplied to the function is invalid' 또는 '인증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함수에 제공된 토큰이 올바르지 않습니다.'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계정 인증 정보(아이디, 비밀번호)가 틀렸을 때 나타난다.해결 방법올바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2024. 1. 24.
[우분투 22.04] 디스크 마운트 하기 우분투 22.04에서 디스크를 마운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디스크 목록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가능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한다. 디스크를 장착하였으나 나타나지 않는다면 디스크 포맷을 수행한다.blkid디스크 마운트 정보 추가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 마운트 정보를 편집하는 화면으로 진입한다.nano /etc/fstab아래의 설정 규칙과 사진처럼 적절하게 마운트 정보를 입력한다.{장치경로|장치UUID} {경로} {포맷} defaults 0 0디스크 마운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입력한 마운트 정보를 반영한다.mount -a디스크 마운트 확인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마운트가 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df오류해결마운트할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마운트할 디렉토리가 없어서 발생하는 것.. 2024. 1. 23.
[우분투 22.04] XRDP 포트 변경 XRDP 서버를 우분투 22.04에서 운용할 때 기본 포트인 3389로 운영하면 공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XRDP 서비스에서 사용할 포트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XRDP 포트를 바꾸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XRDP 포트 변경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 설정 파일을 연다. nano /etc/xrdp/xrdp.ini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나면 'port={포트번호}' 부분을 원하는 포트로 수정하여 저장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변경된 포트 번호로 XRDP가 실행되도록 XRDP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systemctl restart xrdp 변경된 포트 번호에 맞춰서 방화벽 포트 개방 등의 방화벽 설정을 확인한다. 2023. 11. 6.
[우분투 22.04] XRDP 설치 방법 RDP(Remote Desktop Protocol)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원격 제어용 프로토콜이자 프로그램이다.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프로그램을 통해 우분투에 접속하려면 우분투에 XRDP를 설치해야 한다. XRDP는 우분투에서 사용가능한 RDP 서버 프로그램이다. 본 글에서는 우분투 22.04에서 XRDP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XRDP 설치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xrdp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 계정을 ssl-cert 그룹으로 생성한다. adduser xrdp ssl-cert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xrdp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RDP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방화벽에서.. 2023. 11. 4.
[우분투 22.04] SSH(Secure SHell) 설치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안전하게 원격 관리하기 위해서 SSH(Secure SHell)을 사용한다. 본 글에서는 우분투 22.04에서 SSH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SSH 설치 아래의 명령어를 우분투 터미널에 입력하여 SSH 서버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SSH 서비스 시작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SSH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ssh SSH 설정 수정 포트 번호 등 SSH의 설정을 수정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vi /etc/ssh/sshd_config 참고문서 "[CentOS 7] SSH 보안 강화를 위해 포트 번호를 수정하자", 2021년 8월 4일. @원문보기 "[RHEL] SSH root 로그인 허용 .. 2023.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