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공학/도로교통15

728x90
반응형
하이패스 통행료 미납 사유 - OBU 미작동 'OBU 미작동' 미납 조치 방법 하이패스에서 OBU(On-Board Unit)는 차량에 설치된 하이패스 단말기를 말한다. 고속도로 하이패스를 이용하다보면 'OBU 미작동'으로 하이패스 통행료가 미납될 수 있다. 미납되면 미납 고지서가 지로나 카카오톡 등으로 오는데 이 때 납부하면 된다. 단, 아래의 경우 원래 통행료의 10배로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최근 1년간 20회 이상 아래의 사유로 미납 발생시 관련법령에 의거하여 미납통행료의 10배로 부가통행료를 부과한다. - 고객중과실(일반차로미납/단말기미부착/카드미삽입/잔액없음) 사유로 통행료 미납 발생시 - 기타 고객과실(사용중지 단말기 또는 카드사용/운행차종상이) 사유로 통행료 미수납시 'OBU 미작동' 원인 여러 가지 이유로 'OBU 미작동'.. 2023. 1. 25.
유료도로 통행료 수납(징수) 시스템 정의와 역사 정의 유료도로 통행료 수납(징수) 시스템은 통행료 수납을 위한 설비와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국내 현황 국내의 유료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1967년 9월 23일 우리나라 최초의 유료 도로인 강변1로(제1한강교~영등포 입구 6.1km)의 통행료 수납으로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유료도로에 진입할 때 근무자에게 통행권을 받고 유료도로에서 벗어날 때 근무자에게 통행료를 내는 폐쇄식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후 1994년에 한국도로공사가 '기계식' 유료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삼성전자) 구축 및 운영을 시작했다. 이 기계식 시스템은 현재 TCS(Toll Collection System)와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로 구분된 차로 설비에 개방식 요금소와 스마트톨링(Smar.. 2023. 1. 19.
RWIS(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도로기상정보체계) 소개 RWIS 정의 RWIS(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도로기상정보체계, 도로기상정보시스템)는 강수량 등의 기상정보와 대기 및 도로면 상태를 실시간 수집하는 시스템 RWIS 의의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징으로 인해 도로의 대규모 비탈면, 고성토부, 교량 등의 구조물 관리소요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이 구조물이 자연재해로 인하여 손상되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 등의 이유로 우리나라는 국지성 호우와 기습적인 폭설이 더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기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시스템인 RWIS가 필요하다. 참고문서 [1] "도로기상 정보의 .. 2022. 8. 12.
차로제어시스템(Lane Control Systems, LCS) 차로제어시스템 정의 차로제어시스템(Lane Control Systems, LCS)은 기존 차로의 가변활용 또는 갓길의 일반차로 활용 등으로 단기적인 도로용량의 증대를 통해 지·정체를 완화시키는 교통관리기법을 말한다. 차로제어시스템은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교통 상황에 따라 교통관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이다. 참고문서 [1] ITS 편람(지능형교통시스템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2013년 1월. @원문보기 [2] FTMS(Freeway/Express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 고속도로 ITS 시스템, ITS 국제협력센터, 국토교통부. @원문보기 2022. 7. 28.
차량검지장치(Vehicle Detection System, VDS) 차량검지장치 정의 차량검지장치(Vehicle Detection System, VDS)는 통량과 속도, 점유율 등의 교통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하는 장비를 말한다. 차량검지 방법은 비접촉식과 접촉식, 영상처리방식과 음성처리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022.07.28 - [교통공학/지능형교통체계(ITS)] - 터널유고감지시스템(Tunnel Accident Detection System, TADS) 터널유고감지시스템(Tunnel Accident Detection System, TADS) 터널유고감지시스템 정의 터널유고감지시스템(Tunnel Accident Detection System, TADS)은 터널의 사고를 즉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적시에 대응하여 2차 사고 및 화재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2022. 7. 28.
터널유고감지시스템(Tunnel Accident Detection System, TADS) 터널유고감지시스템 정의 터널유고감지시스템(Tunnel Accident Detection System, TADS)은 터널의 사고를 즉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적시에 대응하여 2차 사고 및 화재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통행차량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이다. ITS 표준총회(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에서 정의하는 돌발상황 검지시스템(Automatic Incident Detection System, AIDS)의 응용 중 하나이다. 터널유고감지시스템의 활용 터널유고감지시스템은 교통관제가 필요한 터널에 적용되며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의 한 기능을 담당한다. 참고문서 [1] "딥러닝 기반 터널 유고 감지(TAD) 시스템", 신휴성, 황승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문보기.. 2022. 7. 28.
하이패스 단말기 종류 - 자가등록 단말기, 지원금 단말기, 감면 단말기 하이패스 단말기의 종류 하이패스(Hi-Pass) 단말기 종류에는 크게 '자가등록 단말기'와 '지원금 단말기', '감면 단말기' 이렇게 총 3가지가 있다. 자가등록 단말기는 하이패스 사용자가 단말기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직접 단말과 자동차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이며, '지원금 단말기'와 '감면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영업소에서 자동차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로 복지를 위해 통행료 할인 등의 기능이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하이패스 단말기별 판매사 참고문서 [1] "하이패스, Hi-Pass", 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원문보기 [2] "모바일 하이패스, Mobile High Pass", 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원문보기 [3] "하이패스 단말기 소개",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한.. 2022. 7. 27.
차량탑재장치(차량단말기, On-Board Unit, OBU)는 무엇일까? 차량탑재장치 정의 차량탑재장치(차량단말기, On-Board Unit, OBU)는 차량에 탑재되는 보조적인 장치들의 총칭이다. 디스플레이, 스마트카드, 판독기, 키보드, 안테나 등이 있으며 유료도로에서 OBU는 주로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하이패스 단말기라고 부르는 ETCS 단말기를 말한다. 참고문서 [1] "FTMS(Freeway/Express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 고속도로 ITS 시스템", 국토교통부 ITS 국제협력센터. @원문보기 [2] "탑재 장치, On-Board Unit, OBE", 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원문보기 [3]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 ITS 용어사전, 국토교통부. @원문보기 [4] "차내장비(On-Board Equ.. 2022. 7. 27.
스마트톨링(Smart Tolling)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톨링 정의 스마트톨링(Smart Tolling)은 국토교통부가 정의한 용어로 유료도로의 요금소에 요금 수납원 없이 요금을 수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스마트톨링이 적용된 요금소에는 ETCS(Electric Toll Collection System, 전자통행료 지불 시스템)만이 있다. 지능형 교통체계(Intelligent Trasnportation System, ITS)의 한 분야이다. 기존 ETCS의 한계 기존의 하이패스(ETCS)는 단일차선이었고 차로 속도가 30km/h로 제한되어 있으며 요금소 진행 중에 차로 변경이 불가능하여 처리할 수 있는 통행량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다차로 ETCS가 제안되었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차선에 격벽이 없어서 차선 변경이 가능하며 차량을 본선속도(100km/h 등.. 2022. 7. 26.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VMS, 가변전광표지)는 무엇인가? 도로전광표지 정의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VMS, 가변전광표지)는 지능형 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시설 중 하나로 도로이용자에게 도로와 기상, 교통상황, 교통규제 상황 등의 도로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도로전광표지는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도로전광표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제77조 교통체계지능화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서 [1] 정헌영, 손수란, 이정호, VMS(Variable Message Sign)를 통한 교통정보 제공이 운전자의 운행경로 전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 2022. 7. 26.
유료도로(고속도로)에서의 폐쇄식 영업소와 개방식 영업소 구분 영업소의 구분 한국도로공사의 도로설계요령에 따르면 유료도로에서 영업소(요금소)는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식에 따라 폐쇄식과 개방식으로 구분한다. 폐쇄식 영업소(폐쇠식 요금소, Ticket System) 폐쇄식 영업소는 이용자가 유료도로를 벗어날 때 출구에서 요금을 지불하는 영업(징수)방식이다. 이용자가 주행한 거리만큼의 요금을 부담하게 되어 통행료를 합리적으로 지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유료도로에 진입 시설과 출입 시설을 설치 및 운영해야 하기에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개방식 영업소(개방식 요금소, Barrier Toll) 개방식 영업소는 도로 위에 요금소를 설치하고 통과한 이용자에게 일률적으로 통행료를 회수하는 영업(징수)방식이다. 폐쇄식 영업소에 비해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낮은 장점.. 2022. 7. 26.
도로에서 갠트리(Gantry)는 무엇인가? 갠트리란? 갠트리(Gantry)는 구조물의 한 형태로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수평 빔(beam)의 중간에 넓은 간격을 두고 지지대를 내려 다리 모양으로 만든 구조물.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뛰어넘어 무거운 기계, 재료 따위를 끌어 올리거나 운반하는 데 쓴다."로 설명한다. 도로에서 갠트리는 대체적으로 아래 사진의 회색 구조물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2022. 7. 22.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전자통행료 지불 시스템) ETCS 정의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전자통행료 지불 시스템)는 유료도로에서 통행료를 자동으로 지불하는 요금 수납 시스템이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계)의 한 분야이다. 2022.07.22 - [컴퓨터 공학·과학/지능형교통체계(ITS)] -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소개 및 관련 기관 목록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소개 및 관련 기관 목록 ITS의 정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계)는 교통체계의 운영과 관리를 과학화 및 자동화한 교통체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국가교통체계효율화법 제2.. 2022. 7. 22.
TCS(Toll Collection System, 통행료 징수 시스템, 통행료 수납 시스템) 소개 동영상 설명 [교통 용어] TCS(Toll Collection System, 통행료 수납 시스템) TCS 정의 TCS(Toll Collection System, 요금 징수 시스템, 통행료 지불 시스템, 통행료 수납 시스템, 통행료 징수 시스템)는 유료도로의 요금을 수납하는 시스템이다. 현재의 TCS는 차를 인식하고 통행권을 발급하는 시설부터 차로 영업원이 사용하는 수납 소프트웨어, 유료도로 영업소의 정산 소프트웨어까지 다루는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TCS 등장배경 수납원이 현금과 수기로 수납하는 경우 각 수납원별 현황을 종합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 특히 사람의 실수로 인해 수금결과가 안 맞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를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TCS가 등장하였.. 2022. 7. 22.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계) 소개 및 관련 기관 목록 ITS의 정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계)는 교통체계의 운영과 관리를 과학화 및 자동화한 교통체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국가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에 따라 ITS를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대하여 전자·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교통기술과 교통정보를 개발·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로 정의한다. ITS 분야 ITS를 이루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응용 분야도 있다. 대표적인 ITS 분야는 아래와 같다. 교통카드(대중교통요금 전자 지불, Automatic Fare Collection, AFC) MIMS(Bus Information Management .. 2022. 7. 22.